티스토리 뷰
< 우분투 환경 setting을 간략하게 >
: 나는 mac 사용사라서 사실 parallels에 우분투를 올려 웹서버를 구성하는게 좀 불필요하게 느껴지기도 한다.
하지만 우분투 환경에서 웹서버를 올리고, Apache, Oracle, Php를 연동한 환경을 구성하고자 한다.
: parallels에 우분투를 올리고
: git 설치
: php 설치
apatch 서버 running
localhost에 index.html main page가 뜨는 것을 볼 수 있다.
default가 read only이길래, mode를 바꿀까 하다가
그냥 새로운 index.html을 만들어봤다.
'개발자 배배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Shell version 선택 tip (0) | 2018.04.12 |
---|---|
[Linux] Makefile 활용하기 (0) | 2018.04.10 |
[Linux] 리눅스 필수 기본 명령어들 정리 (0) | 2018.03.25 |
[Linux] 원격 서버에 있는 파일 '접근' 및 '권한 변경' (0) | 2018.03.25 |
[Linux] ssh 원격 서버접속 기본 (0) | 2018.03.24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KAKAO
- kakaotalk
- Android
- server ip
- tabLayout
- Beacon
- fragment 겹침
- wegith
- call back
- eddystone
- 안드로이드
- 카카오톡
- 카카오톡 연동
- 비콘
- monitoring
- SQLPro
- 책 집필
- startService
- stopService
- Retrofit
- nodejs
- 행복의 상대성
- RECO beacon
- 수업교재
- 연동
- layout_weight
- kakao oven
- ranging
- 카톡
- call back 뺏아오기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